자동매매에서 가장 중요한 3가지
진입 조건, 분할 매도, 손절 설정의 모든 것
자동매매를 처음 시작하는 많은 사람들은 종종 착각한다.
“좋은 전략만 있으면, 자동으로 수익이 날 것이다.”
하지만 실전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동하는 건 전략 그 자체보다
**‘전략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 3가지’**의 설계다.
이번 글에서는 자동매매의 수익성과 리스크를 결정짓는
진입 조건 / 분할 매도 / 손절 설정
이 세 가지 요소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, 실제 코드에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도 예시와 함께 설명한다.
1. 진입 조건: ‘언제 들어갈 것인가’
자동매매에서 진입 조건은 말 그대로 **“매수 or 포지션 진입의 트리거”**이다.
조건이 너무 느슨하면 노이즈에 휘둘리고, 너무 엄격하면 기회를 놓친다.
✅ 대표적인 진입 조건 예시:
- RSI ≥ 60 (상승 강세 확인)
- 5일 이동평균선 > 20일선 (골든크로스)
- 거래량 급등 + 양봉 출현
- 전일 고가 돌파 (브레이크아웃 전략)
⚠️ 주의할 점
- 단일 지표보다 ‘복합 조건’이 신뢰도 높음
- 조건을 너무 타이트하게 걸면 매매가 안 일어남
- 지표 데이터의 ‘타임 프레임’ 선택이 중요 (1분봉, 1시간봉, 4시간봉…)
💡 실전 팁:
RSI + 골든크로스 + 거래량 증가 → 세 가지가 동시에 충족될 때만 진입
→ 노이즈 신호 감소, 진짜 추세 시작만 타겟팅 가능
2. 분할 매도: ‘어떻게 수익을 챙길 것인가’
자동매매의 핵심은 매수보다 매도 전략 설계에 있다.
한 번에 전량 매도하면 시점 판단이 어려워 손실이나 기회를 동시에 맞이할 수 있다.
그래서 등장하는 전략이 분할 매도다.
✅ 분할 매도의 구조 예시:
- 매수 후 수익률 +1% 도달 → 50% 매도
- +1.5% 도달 → 30% 매도
- +2% 도달 → 잔여 20% 매도
🔍 장점
- 빠르게 익절하여 리스크 최소화
- 남은 물량으로 고점까지 수익 극대화
- 시장 변동성에 유연하게 대응
📉 잘못된 매도 방식
- 익절 지점 없이 무한 보유 → 수익이 다시 손실로 전환될 수 있음
- 수익률 목표를 너무 높게 잡으면 청산 전 반락 위험
💡 실전 팁:
자동매매 시스템에서는 각 종목별로 진입가 / 보유 수량 / 매도 비율을 분리 저장하여,
동시에 여러 분할 매도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핵심이다.
3. 손절 설정: ‘언제 빠져나올 것인가’
수익보다 더 중요한 건 손실을 줄이는 것이다.
자동매매 시스템은 손절이 없다면 **“손실을 끝까지 끌고 가는 바보 로봇”**이 된다.
✅ 손절의 핵심 요소:
- 기준: 수익률 -5% ~ -10% (변동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)
- 조건: 지정가 손절 or 시장가 손절 (실행 속도 고려)
- 반응 속도: 5분봉 기준 실시간 체크 추천
📉 손절 미적용의 위험
- -3% 손실을 방치하면 → -20% 이상으로 번질 수 있음
- 청산 위험 있는 선물거래에서는 필수 조건
💡 실전 팁:
변동성이 큰 종목은 -10% 손절 /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종목은 -5% 손절
손절 기준을 “고정값”이 아닌 변동성 기반 동적 손절로 설계하면 더욱 효율적이다.
4. 이 세 가지가 조화를 이루는 구조
실전에서는 이 세 가지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.
# 매수 조건 만족
if rsi > 60 and is_golden_cross:
buy_price = current_price
quantity = balance * 0.1
# 매수 실행
# 수익률 계산
profit_rate = (current_price - buy_price) / buy_price * 100
# 분할 매도
if profit_rate >= 1.0:
sell(quantity * 0.5)
elif profit_rate >= 1.5:
sell(quantity * 0.3)
elif profit_rate >= 2.0:
sell(quantity * 0.2)
# 손절
if profit_rate <= -8.0:
sell_all()
➡ 진입 / 익절 / 손절이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져야
➡ 자동매매 시스템이 ‘시장 반응 → 대응 → 수익 회수 → 리스크 방어’의 순환을 완성할 수 있다.
📌 핵심 요약

💬 다음 글 예고
자동매매를 직접 돌려본 결과는 어떨까?
다음 글에서는
〈10만원으로 시작한 자동매매 실험기: 1개월 결과 공유〉
실제 자산을 운영하며 얻은 수익률, 실수, 전략의 장단점까지 솔직하게 공개한다.
'📈 자동매매 & 퀀트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만원으로 시작한 자동매매 실험기: 1개월 결과 공유 (0) | 2025.04.01 |
---|---|
PyUpbit vs CCXT, 어떤 라이브러리가 더 좋은가? (0) | 2025.04.01 |
바이낸스 선물거래 자동매매, 위험은? 수익은? (0) | 2025.04.01 |
다중 종목에 자동 적용하는 자동매매 시스템 설계 (0) | 2025.04.01 |
RSI + 골든크로스 기반 전략, 수익이 나는 이유 (0) | 2025.04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