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개월 동안 실제 수익은 얼마였을까?
이론과 코드는 다 좋다. 하지만 자동매매를 정말로 믿게 되는 건
**"실제로 돈을 넣고 돌려봤을 때 어떤 결과가 나왔는가"**이다.
이번 글에서는 필자가 직접 10만원의 소액 자산으로 자동매매 시스템을 1개월간 운용하면서 얻은
실제 수익률, 거래 횟수, 발생한 실수, 개선점 등을 상세하게 정리해본다.
반응형
1. 실험 환경 세팅
✅ 실험 기간
- 2025년 2월 1일 ~ 2월 29일 (총 29일)
✅ 사용 거래소
- 업비트 (현물 거래)
✅ 전략 적용
- 마하세븐 매매법
- 조건: RSI ≥ 60 + 골든크로스 발생 시 진입
- 분할 매도: +1% → 50%, +1.5% → 30%, +2% → 20%
- 손절: -8%
✅ 투자 금액
- 초기 자산: 100,000원 (10만 원)
- 종목당 진입 자산: 약 10,000원 (전체 자산의 10%)
✅ 대상 종목
- KRW-BTC, KRW-ETH, KRW-XRP, KRW-SOL, KRW-ADA (5개)
✅ 실행 방식
- AWS 서버에서 crontab으로 5분 간격 실행
- 실시간 매매 내역을 카카오톡으로 전송
- 수익률 로그 자동 저장
2. 수익률 요약 결과
수익률: +9.0%
단 1개월 동안 소액으로 운용했음에도 1만 원 가까운 수익 발생,
연 환산 시 약 100% 수준의 성장률이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왔다.
3. 일주일 단위로 본 흐름 변화
📅 1주차 (2/1~2/7)
- 시장 방향성 불분명 → 진입 신호 드묾
- 단 3건 진입, 소폭 수익
📅 2주차 (2/8~2/14)
- BTC, ETH 급등 → RSI+골든 진입 증가
- 분할매도 성공률 높음
- 수익의 절반 이상 이 시기에 집중
📅 3주차 (2/15~2/21)
- 시장 조정기 진입
- 조건 미충족 → 거래 줄어듦
- 손절 2건 발생 (XRP, ADA)
📅 4주차 (2/22~2/29)
- 다시 반등세 진입
- SOL, ETH에서 분할익절 성공
- 일부 잔여 포지션은 3월로 이월됨
4. 실전에서 발생한 문제들
➡ 소액일수록 단위 조정, 주문 최소 금액 체크, 실시간 데이터 정합성이 매우 중요하다.
5. 자동매매 시스템의 의미 있는 발견
- 진입 조건이 적절하면 시장 흐름과 상관없이 일정한 수익 발생 가능
- 분할 매도 전략이 없었으면 익절 타이밍을 놓쳤을 가능성 다수
- 손절 조건을 ‘무조건 -8%’로 고정하기보다 변동성 기반으로 조정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
- 카카오톡 알림이 생각보다 유용 → 실시간 반응 + 심리적 안정감 제공
6. 향후 개선 방향

📌 핵심 요약
💬 다음 글 예고
이번에는 국내 거래소가 아닌 주식 자동매매로 시선을 돌려본다.
키움, 대신, 미래에셋 API를 비교하면서
**“어떤 증권사가 자동매매에 가장 적합한가?”**를 분석해본다.
다음 글은
〈주식 자동매매 API로는 키움? 대신? 미래에셋? 비교 정리〉
실제 연동 난이도, 사용성, 커뮤니티 지원 등을 기준으로 실전 비교할 예정이다.
반응형
'📈 자동매매 & 퀀트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동매매에서 가장 중요한 3가지: 진입 조건, 분할 매도, 손절 설정 (0) | 2025.04.01 |
---|---|
PyUpbit vs CCXT, 어떤 라이브러리가 더 좋은가? (0) | 2025.04.01 |
바이낸스 선물거래 자동매매, 위험은? 수익은? (0) | 2025.04.01 |
다중 종목에 자동 적용하는 자동매매 시스템 설계 (0) | 2025.04.01 |
RSI + 골든크로스 기반 전략, 수익이 나는 이유 (0) | 2025.04.01 |